비수술통증도수치료/스포츠손상 골다공증

평촌재활병원 무릎에서 들린 뚝! 하는 파열음 십자인대파열

힘정형외과 2023. 5. 19. 17:54

운동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십자인대 한 번씩은 다들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 사이 허벅지 뼈와 종아리뼈를 잇는 인대로 전방과 후방을 X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요. 무릎이 앞뒤로 어긋나지 않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관절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십자인대는 무릎 앞쪽 움직임에 대한 일차적인 안정 구조물인 전방 십자인대와 정강이뼈가 넙다리뼈에 대해 뒤쪽으로 움직여지지 않도록 버티는 후방 십자인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십자인대가 무릎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강한 충격으로 파열될 수 있는데 이를 십자인대파열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십자인대파열이라고 하면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된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후방십자인대파열도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파열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연골이 마모되면서 연골이 손상되거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평촌재활병원 힘정형외과에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십자인대파열은 스포츠 활동 중에 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직접적인 충격으로 파열되는 것보다 비 접촉성 손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축구나 농구, 스키 같은 무릎 사용이 많은 운동을 할 때 무릎 관절에서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해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무릎 관절이 비틀리거나 꺾이는 동작에서도 발생하고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거나 급하게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점프 후 잘못된 착지를 했을 때 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교통사고 시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안쪽으로 타격이 발생한 경우, 무릎을 굽힌 채 낙상해 정강이뼈가 타격된 경우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에서 뚝 하는 인대 파열음과 함께 극심한 무릎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때 나타나는 통증은 무릎에 체중을 실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기 때문에 발을 내딛거나 걷는 것이 힘들어지기도 하며 특히 걸을 때 무릎에 반복적으로 힘이 빠지거나 휘청거릴 수 있습니다.

또한 십자인대가 파열되면서 무릎의 안정성을 잃게 되어 무릎이 어긋나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무릎이 불안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증이 발생하고 난 뒤 1~2시간 이내에 무릎 주변에 멍과 부종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완화되는 양상이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통증과 부종이 사라진다고 해도 걷거나 쪼그려 앉을 때 불편함과 통증은 느껴져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십자인대파열로 불안정해진 무릎을 계속해서 쓰게 되면 파열의 정도와 범위가 더욱 심해지고 관절에서 손상이 일어나 퇴행성 관절염 같은 이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무릎은 다른 관절보다 퇴행성 변화가 이르게 나타나는 부위이기 때문에 더욱더 빠르게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촌재활병원 힘정형외과에서는 무릎 관절의 상태를 자세히 살피고 인대 손상이 심하지 않다면 보존적인 치료를 중심으로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물리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와 함께 평촌재활병원 힘정형외과에서는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손상된 인대 조직의 회복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병변 부위에 정확히 충격파 에너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하여 새로운 혈관의 생성을 촉진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거나 재생성을 돕는 치료 방법으로 마취나 절개 과정이 없고 다른 부위에 영향을 주지 않아 감염이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 없이 누구나 받아볼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운동을 통해 무릎의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무릎 관절에 악영향이 될 수 있어 자신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운동 전후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자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