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평촌정형외과 길어지는 실내생활로 인한 허리 통증, 원인은 허리 디스크가 아닌 척추관협착증?

힘정형외과 2020. 12. 14. 12:28

 

#평촌정형외과

길어지는 실내생활로 인한 허리 통증,

원인은 허리 디스크가 아니라

척추관협착증?

 

 

 

 

최근 1년 사이에 집콕이 일상이 됐습니다.

활동적인 사람들마저 불가피하게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으며, 고령층분들은

특히나 운동량이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근력을 약하게 하고 척추에 부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 이후 바이러스 감염을 걱정해서

외출은 물론, 병원 방문조차 꺼리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건강할 때 제대로 척추 관리를

해주지 않거나, 불편함이 생겨도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나중에 증상 개선이 힘듭니다.

 

그래서 오늘 저희 힘정형외과에서

허리 디스크와 헷갈릴 수 있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무슨 질환인가요

 

척추관 협착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척추 중앙의 척추관과 신경근관 혹은 추간공이

좁아지게 되면서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발병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과거에는 중·장년층에게 흔하게 발병하는

질환으로 뽑혔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잘못된 자세와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과체중으로 인해

추간판에 노화가 빠르게 일어나면서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게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외부적 충격, 즉 교통사고와 같은

큰 충격에 의해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발병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 다리 통증을 동반한 허리 통증이 함께 나타납니다

 

- 엉덩이부터 허벅지, 다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느낌을 받습니다.

 

- 서 있을 때 다리에 쥐어짜는 듯한 통증 또는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나타나

오래 걷지 못해 자주 쉬게 됩니다.

 

- 추운 날씨에 활동을 하면 악화되지만

따뜻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 다리로 가는 신경이 마비되어 감각과 힘이

떨어집니다.

 

-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편해집니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 디스크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나요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 디스크의 증상이

비슷한 점이 있어서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 디스크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 디스크는 증상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질환이기에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리 디스크의 경우에는 앉은 자세보다는

서 있는 자세가 편하며,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약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20 ~ 40대인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발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는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나타나며, 걸을 때

통증이 심화되지만, 앉아있으면 통증이 서서히

완화되는 특징을 보여주며,

50대 이후 중장년층에게 많이 발병하고 있습니다.

 

 

 

 

평촌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

진행하는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법은

무엇이 있나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는 초기에 발견했을 때

충분히 보존적 치료법만으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저희 평촌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척추관 협착증의 보존적 치료법으로는

인대 강화 주사, 물리치료, 도수치료와 같은

치료를 진행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무중력 감압 치료기가 척추관 협착증에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무중력 감압 치료기는 원하는 척추 부위를

무중력 내지 음압의 상태로 만들어서

디스크 내로 영양물질 및 산소 공급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디스크에 문제가 된 것들이 해소되고

정상 디스크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환자가 치료대에 자리를 잡으면 특허받은

골반 고정기가 환자의 골반을 편안하게 고정하여

컴퓨터의 통제 하에 압박을 가하여

특정 디스크 부분들을 부드럽게 늘려서

정확하면서도 고통 없이 디스크 내부의 압박을

감소시키도록 합니다.

 

그리고 평균적으로 15 ~ 25회의 치료로도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힘정형외과에서 알려드리는

척추관 협착증의 생활 속 예방법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무거운 물건을 나르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최대한 피해야 하며

앉거나 설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과도한 비만 및 운동 부족은

척추에 부담을 주거나 주변 근육 및 인대를

약화시켜서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