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산본정형외과] 허리 디스크와 헷갈릴 수 있는 허리 통증, 척추관협착증의 원인과 증상은?

힘정형외과 2020. 11. 27. 14:43

 

[산본정형외과]

허리 디스크와 헷갈릴 수 있는 허리 통증,

척추관협착증의 원인과 증상은?

 

 

 

 

엉덩이 아래로부터 시작하는

찌릿한 다리 통증과 저림 증상, 보행의 제약과

일상생활의 불편함, 허리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들입니다.

 

척추뼈 사이에 일명 '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이

탈출해 신경을 건드리게 되면 위 같은 통증이나

불편감이 나타나게 되는데 외부로 인한 충격은

물론 바르지 못한 자세와 보행 습관, 과체중 등이

해당 질환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오른쪽 다리 저림이나

왼쪽 다리 저림은 물론 요통 등의 증상을 오롯이

디스크 질환의 문제만으로 국한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이는 허리 디스크와 증상이 매우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질환인가요?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지면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나타내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노화가 진행되면 추간판의 수핵이

굳어지면서 척추의 밖으로 나오게 되면서

신경을 자극하지만 인대의 염증이나

관절의 염증으로 인해서 뼈가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누를 때도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이 발병하는 원인은

어떤 것이 있나요?

 

척추관협착증은 과거 중·장년층에게

흔하게 발병하는 질환이었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잘못된 자세와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운동 부족, 비만으로 인해서

추간판의 노화가 빠르게 일어나면서

비교적 젊은 층에게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이 발병했을 때는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나요?

 

- 다리 통증을 동반한 허리의 통증이 나타납니다.

 

- 엉덩이부터 허벅지, 다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듯한 느낌이 납니다.

 

- 서 있을 때 다리에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나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나타나면서

오래 걷지 못해 자주 쉬게 됩니다.

 

-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지만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 추운 날씨에 활동을 하면 악화되지만

따뜻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 다리로 가는 신경이 마비되어 감각과

힘이 떨어집니다.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차이점은 어떤 게 있나요?

 

척추관협착증과 허리 디스크의 증상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질환이며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리 디스크의 경우에는

앉은 자세보다는 서 있는 자세가 편하며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악화됩니다.

또한 허리 디스크는 20~40대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발병하고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경우에는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악화되지만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완화되며,

앉아있으면 통증이 서서히 줄어듭니다.

또한 척추관협착증은 5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하고 있습니다.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의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척추관 협착증을 초기에 발견했을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보존적 치료법으로

물리치료, 도수치료, 인대 강화 주사로

진행할 수 있지만, 보존적 치료법 중에서도

무중력 감압 치료기로 진행하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 있습니다.

 

무중력 감압 치료기는 원하는 척추 부위를

무중력 내지 음압의 상태로 만들어서 디스크 내로

영양물질 및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만들어서 디스크에 문제가 된 것들을 해소하고

정상 디스크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

 

이는 환자가 치료기에 자리를 잡으면

특허받은 골반 고정기가 환자의 골반을 편하게

고정시켜서 컴퓨터의 통제 하에 압박을 가해서

특정 디스크 부분들을 부드럽게 늘려 정확하면서도

고통 없이 디스크 내부의 압박을 감소시키도록

해서 평균적으로 15 ~ 25회의 치료로도

충분히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

알려주는 척추관협착증의 예방법은?!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평상시에 무거운 물건을 나르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최대한 피해야 하며

앉거나 설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운동 부족 및 비만의 경우에는

척추에 부담을 주거나 주변 근육 및 인대를

악화시켜 퇴행성 변화의 촉진을 가져올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