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군포신경외과 손저림을 유발하는 목디스크

힘정형외과 2023. 9. 26. 11:15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직장인들은 종종 손목에 통증을 호소하고는 하였어요. 그럴 경우에는 단순히 근육통으로 생각하거나 손목터널증후군 혹은 손목건초염 등의 질환을 많이 의심하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하지만 손목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 군포신경외과를 찾아 주시는 환자 분들 중 목디스크로 인해 발생한 경우도 존재하였는데요. 오늘 힘정형외과에서는 왜 목디스크로 인해 손목에서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추추간판탈출증이 목디스크의 정식 명칭이었어요. 추간판은 우리가 흔히 디스크라고 부르는 구조물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뼈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는 젤리 같은 형태의 수핵으로 외부에는 이것을 고정시켜주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었어요. 여러 원인으로 인해 섬유륜이 손상되면 내부에 있는 수핵이 흘러나와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시키는 질환이었어요.

 

경추는 7개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위에서부터 차례로 1~7번까지의 번호가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그 주변에는 각기 다른 신체 부위와 이어지는 신경들이 존재하였어요. 5~7번 경추 주변에는 손가락과 이어지는 신경이 존재하여 해당 부위에서 디스크 탈출증이 발생할 경우 손에서 증상이 나타나게 되었어요.

 

또한 다른 경추 사이에서 디스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뒷목 통증부터 두통 그리고 어깨의 뻐근함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었어요. 또한 목디스크를 방치할 경우 손의 힘이 빠져 물건을 놓치기 쉬워지고 마비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어 초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였어요.

 

이러한 목디스크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구조물의 탄력이 저하되면서 작은 충격에도 손상을 입기 쉬워져 발생할 수 있었으며 중장년층 이상에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도 최근 해당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었는데 스마트폰을 볼 때에 고개를 내미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디스크가 받는 압력이 증가하여 발생하거나 목 부위에 강한 충격을 받아 목디스크가 나타날 수 있었어요.

 
 

군포신경외과에서는 환자 분의 병력청취와 X-ray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고 있었어요. 이 결과를 토대로 환자 분의 치료 방향을 정하고 있습니다. 힘정형외과에서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사용하여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었는데요.

 

본원에서는 주사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또한 근골격계 질환에 적용을 할 수 있는 도수치료를 통하여 목디스크에 대해 경과를 지켜볼 수 있었어요.

 

도수치료는 틀어진 척추를 올바르게 정렬될 수 있도록 움직임을 유도하며 이로 인해 신경의 압박을 해소하여 증상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는데요. 검사 결과를 토대로 의료진이 치료 방향을 정하며 도수치료사가 수기로 진행하는 1:1 맞춤 치료 방법입니다. 이 치료 방법은 절개의 과정이 없어 감염이나 출혈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마취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아 아이부터 노인까지 전연령대에서 시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잘못된 습관을 계속 유지할 경우에는 치료를 진행하여도 재발이 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평소 자세 교정과 함께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았어요. 본원에서는 운동치료실과 함께 다양한 기구들이 존재하여 효과를 오래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었어요.

 

손에서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하였어요. 그렇기 때문에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였는데요. 군포신경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보다 수준 높은 진료를 환자 분께서 받을 수 있게 노려 중입니다. 손에서의 감각 이상 문제로 인해 일상 생활의 불편함을 느끼게 되셨을 경우 상담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