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군포정형외과 '올곧은 허리' 슈로스치료로

힘정형외과 2020. 6. 24. 15:42

척추측만증은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척추의 정렬이 전방, 후방, 측방, 그리고 회전방향으로 정상 각도보다 편위되어 기능적 활동에 영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굽음은 단순히 흉추나 요추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흉요추가 전체적으로 휘는 C자형이나 흉추와 요추가 반대로 휘는 S자형처럼 복합적인 경우가 많으며 여기에 골반 뒤틀림의 유무에 따라 더욱 세밀하게 구분하기도 합니다. 



척추측만증은 보통 성장기에 많이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이 7~8배 높게 발병합니다. 척추가 휘어지는 정도가 작을 경우에는 키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각도가 커질 경우에는 척추의 근육과 인대 성장에도 영향을 주며 이로인해 갈비뼈와 골반이 틀어져 키가 자라는 것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성장기인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가장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척추측만증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진과 함께 문제가 확인됐다면 척추측만증 교정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양쪽 어깨 높이가 다르거나 한쪽 등이나 가슴이 튀어나오는 등 신체 비대칭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다리 길이가 다르거나 한쪽 신발이 자주 닳고 드물게는 허리통증까지 나타나기도 합니다.


척추측만증의 원인은 선천성, 신경 근육성, 특발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척추측만증 환자 중의 80~90%는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는 특발성 척추측만증입니다.

 

 

 


척추가 10도 이상 휘어졌을 때 척추측만증으로 진단하며 20도 이상 휘어졌을 경우에는 보조기를 착용하고 40도 이상의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가벼운 척추측만증의 경우에는 잘못된 자세 습관을 고치고 스트레칭과 운동, 도수치료 등을 통한 척추측만등 교정을 병행하는 등의 비수술적 요법으로 어느정도 교정이 가능합니다.


힘정형외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 치료인 슈로스 운동법(Schroth Method)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슈로스 운동법은 독일에서 1920년대부터 시작해 척추측만증을 위한 3차원적 운동요법으로 호흡운동과 함께 뒤틀어진 뼈를 교정해주고 비대칭적인 근육을 균형 있게 만들어주는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월바와 짐볼, 수건, 반달형 폼롤러, 장대, 의자, 테라밴드(탄성력 있는 고무밴드) 등을 이용하여 좀 더 세밀한 운동이 가능합니다.


슈로스 운동의 기본 개념은 변형된 블록들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척추를 교정하는 것으로 변형이 있는 부위와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직선에서 이탈되어 튀어나온 부위는 밑에 넣고 찌그러진 부위는 호흡을 통해 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어깨, 흉추, 요추, 골반 4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적용하게 됩니다. 그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엔 어깨, 흉곽, 골반 3개의 직사각형 블록들이 수직선에서 이탈합니다. 블록들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쐐기(wedge)를 만들기 시작하여 사다리꼴로 변화하고 추가적으로 요천추 블록을 만들기도 합니다.



측만증의 여러 패턴 중 4-curve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어깨블록과 요추블록은 왼쪽으로 이동 및 왼쪽으로 회전하면서 신체의 오른쪽이 찌그러지고 왼쪽이 넓어진 반면 흉추 블록과 골반 블록은 오른쪽으로 이동 및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신체의 왼쪽이 찌그러지고 오른쪽이 넓어져 몸의 왼쪽으로 체중 부하가 증가합니다.



이렇듯 몸이 3차원적으로 변형되고 각각의 블록이 다른 방향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슈로스 운동법은 반드시 체형교정 클리닉과 같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대부분 척추측만증의 경우 수술보다는 비수술치료나 고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일단 의심되는 증상이 보이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 



청소년기에는 뼈와 근육 성장이 한창 자라난 시기이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은 운동량보다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훨씬 길어 성장이 방해받고 자꾸 뼈가 틀어지기 쉬운 환경이므로, 아이의 기본적인 건강을 위해서라도 운동도 충분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