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무릎관절질환

무릎 앞쪽 통증의 원인? 슬개골연골연화증 [군포역정형외과]

힘정형외과 2024. 3. 12. 12:09

최근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하며 간단한 산책이나 조깅을 즐기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이러한 조깅과 산책은 근육을 강화하고 기초체력을 기르는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데요. 하지만 무리한 운동을 시행하였을 경우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무릎은 체중을 지탱하고 몸이 걷거나 움직일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더욱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이번 시간에는 무릎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슬개골연골연화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골연화증이란 관절 안에 위치한 연골 조직이 약해지거나 손상이 되어 말랑말랑해지는 것을 이야기하는데요. 우리가 물렁뼈라고 말하는 조직이 관절 연골로 뼈가 충격을 받을 경우 완충작용을 하여 뼈를 보호해 주고 신체를 움직일 때 마찰 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요. 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연골이 부드러워지고 약화하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연골연화증이라 합니다.

 

슬개골연골연화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무릎의 앞쪽과 슬개골 바로 뒤쪽에 쑤시는 듯한 통증이에요. 또한 관절을 완충해 주는 연골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에 관절이 갈리는 듯한 느낌이 느껴 지기도 하며 붓기가 발생할 수도 있어요. 또한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으나 쪼그리거나 무릎을 꿇는 등의 자세를 취할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해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슬개골연골연화증의 주된 원인으로 무릎의 과도한 사용과 반복적인 자극으로 이로 인해 슬개골을 덮고 있던 연골이 부드러워지거나 마모가 되어 관절 내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지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또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1. 무릎뼈의 탈구로 인해

2. 골절된 후 관절면이 어긋난 채로 회복된 경우

3. 무릎 앞쪽 부위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손상이 발생한 경우

4. 다리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구조적으로 이상이 발생한 경우

5. 반복적인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을 경우

 

 
 

위의 원인으로 인해 슬개골연골연화증 증상이 발생하여 군포역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주시게 될 경우 우선 문진, 촉진, 타진 등의 간단한 검사를 진행하여 볼 수 있으며 또한 클라크 징후를 검사를 진행하여 볼 수 있는데 이는 환자가 누워 병변 부의의 다리를 편 상태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슬개골을 엄지와 검지로 고정해요. 그 후 고정한 쪽을 아래 방향으로 압박한 후 환자 대퇴사두근의 수축을 통해 통증과 소리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연골연화증 진단할 수도 있어요. 추가로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엑스레이 촬영과 초음파 검사, MRI 판독을 시행하여 볼 수 있어요.

 
 

위의 방법을 통해 진단을 한 이후 질환의 진행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여 볼 수 있어요.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하여 볼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의 방법이 있어요. 환자에 또한 따라 추가적으로 체외충격파치료를 시행하여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음에도 악화되거나 호전이 되지 않을 경우 자가골수줄기세포주사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골수를 채취하여 원심 분리 등의 과정을 통해 줄기세포를 농축하고 증세가 나타난 연골에 주사하는 치료로 줄기세포란 아직까지 정착하지 않은 갓 태어난 세포로 이를 무릎 연골에 주사해 생착시키며 무릎연골세포로 작용하여 재생시키는 원리의 치료방법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슬개골연골연화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군포역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위의 언급한 치료방법 외에도 보다 다양한 치료를 통해 환자의 빠른 쾌유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