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시스템/운동재활치료

산본정형외과에서 허리 통증 완화해요

힘정형외과 2023. 7. 31. 10:41

인구의 약 80%는 허리 통증을 겪어본 적이 있을 정도로 흔한 통증의 종류인데요. 그만큼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도 다양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가 아닌 척추관협착증 또한 50대 이상 여성에게서 흔하게 발생되는 질환인데요. 오늘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중앙, 척수가 지나가는 공간을 척추관이라고 하며, 척추에서 나온 신경들이 각 신체들로 나가는 공간을 추간공이라 하는데 이 척추관과 추간공이 좁아져 신경을 누르게 되며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 생기는 척추관협착증은 서 있거나 보행 시에 피가 안 통하는 것처럼 다리의 저림과 통증이 동반되지만 허리를 앞으로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휴식을 취하게 될 경우에는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길을 가다가 노인 분들이 허리를 앞으로 굽히고 다니다가 중간에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또한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게 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증상이 악화되면서 보행거리는 점점 짧아지게 되어 보행장애를 유발하거나 하반신의 마비증상으로 배뇨장애 또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증은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원인으로 퇴행적 변화를 들 수 있어요. 30대부터 시작되는 퇴행적 변화는 신경 주변에 위치한 황색 인대가 두꺼워지며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며 50, 60대 인구에게서 증상이 발생되게 되는데요.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발병률을 보이며 호르몬으로 인해 여성이 보다 인대가 이완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도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선천적 혹은 발육적인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허리에 부담을 주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잘못된 자세 혹은 교통사고 같은 외상 등으로도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초기 진단 시에는 수술이 아닌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인 보존적치료를 진행하여 증상을 호전할 수 있어요. 또한 통증이 완화될 경우에는 물리치료와 함께 운동치료를 복근과 주변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또한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무중력 감압 치료기를 사용하여 증상의 호전을 위한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무중력 감압 치료기는 디스크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척추 내부의 압력을 낮게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질환이 발생된 척추 부위에 무중력이나 음압의 상태로 만들며 척추 내부에 영양물질과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유도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해줍니다.

 
 

허리 통증은 한 가지 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됩니다.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환자 분의 통증 원인과 거기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여 증상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