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촌정형외과 찌릿한 발바닥 통증에 걷기가 힘들어요
여름이 다가오면서 샌들 사시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샌들이나 슬리퍼 같은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지만, 샌들처럼 굽이 밑창이 딱딱한 신발을 신었을 때 걸릴 수 있는 질환이 있습니다.


굽이 없거나 낮은 신발은 충격을 발바닥에 그대로 반영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체중 부하는 발의 뒷부분이 가장 높아서 대개 뒤꿈치 안쪽에서 통증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평촌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 족저근막염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족저근막은 발가락부터 발뒤꿈치까지 넓게 형성된 섬유조직으로, 발바닥의 아치를 유지해주고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족저근막에 충격이 반복되면서 계속해서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 질환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아침 잠자리에서 일어나 바닥에 첫발을 내디딜 때 심한 통증이 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발뒤꿈치 안쪽이 찌릿하며 전기가 오는듯한 통증이 발생하고, 아침뿐 아니라 오랫동안 앉아있다가 움직일 때도 통증이 생깁니다.
수면 중 수축되어있던 족저근막이 펴지면서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을 때 발바닥의 통증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증상이 심해질수록 걸을 때마다 강한 통증이 느껴져 보행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더 나아가 무릎이나 고관절, 척추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족저근막염은 성인 발뒤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두 배 이상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중장년층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여러 이유로 전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원인에는 발의 무리한 사용이 있을 수 있는데 오래 서 있거나 걷는 때에 발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인 족저근막에 지속해서 무리가 가면서 손상이 가고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노화로 인해 족저근막에 퇴행성 변화가 오거나 발뒤꿈치의 지방 패드가 감소하는 경우 충격 완화 작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족저근막염 발생 위험이 커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선천적으로 평발이거나 요족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족저근막염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 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그중 평촌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족저근막염 치료 방법으로 체외충격파 치료를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통증 부위에 기계적인 압력을 반복적으로 가함으로써 세포 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혈관 생성을 촉진해 퇴화한 조직 재생에 도움을 주고, 통증 전달 물질을 감소시켜 주면서 염증과 통증을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약 10분 정도의 짧은 시술 시간과 평균 3~4회 시술만으로도 효과적인 회복이 가능한 편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절개나 마취 과정이 필요 없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현대인들에게 적절한 치료법입니다.

족저근막염은 치료와 더불어 일상생활에서의 습관이 중요한데요. 플랫슈즈, 슬리퍼, 샌들같이 굽이 1cm 정도로 낮은 신발은 밑창이 얇고 딱딱한 신발보다는 체중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적당히 부드럽고 푹신한 신발을 선택하고, 가능하면 뒤꿈치를 보호할 수 있는 모양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과 후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통해 발의 피로도를 낮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