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오래 걷기 힘들다면? 척추관협착증 의심 //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 2022. 9. 13. 11:38

 

 

허리가 아프고 뻐근하면 대표적인 척추 질환인 허리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지만 혹시 다리까지 저리는 증상이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랜시간 앉아서 업무를 보는 근무 환경으로 인해 현대인들에게는 고질적인 허리 통증, 이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에 대해서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초기에 받는 것이 중요한데요. 다리에까지 증상이 나타나 보행장애로도 이어질 수 있는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관은 척추의 가운데에 속이 빈 공간으로 뇌부터 팔, 다리까지 신경이 지나가는 길인데요. 이러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면 그 안의 신경이 눌리며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고 엉덩이와 다리까지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나타내는데 이를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허리디스크와 비슷해 보이지만 이와 달리 허리를 뒤로 젖혔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지며 엉덩이 부근에 찌르거나 타는 듯한 증상과 함께 다리에 감각장애나 근력 저하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는 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증상에 해당된다면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1.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2.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이 있습니다.
  3. 다리의 감각이 둔해집니다.
  4. 오래 걷기가 힘들어 자주 쉬게 됩니다.
  5. 자는 동안에 다리에 쥐가 나거나 통증이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원인은?

척추관협착증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보통은 노화로 인해 척추가 퇴행성 변화를 겪으며 발생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도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잘못된 자세나 생활 습관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과체중의 경우 척추에 무리가 지속되며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유전에 의해 척추관이 선천적으로 좁은 경우에도 이른 나이에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허리에 강한 충격이나 외상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다행히 초기에 발견한 경우에는 보존적인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이 가능한데요. 환자의 80~90% 정도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치료로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에서는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를 위해 내원하신 환자분의 증상과 상태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춰 도수치료나 인대 강화 주사 치료를 도와드리고 있으며 또한 무중력감압기 치료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진 무중력감압기는 질환이 발생한 척추 부위의 내부 압력을 낮추어 무중력 상태로 만들어서 디스크 내 영양물질과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요. 이와 더불어 디스크 부분을 부드럽게 눌러 디스크 내부 압박을 감소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게 됩니다.

 

 

 

 

산본정형외과 힘정형외과는 비수술 치료를 중점으로 척추 관절에 발생하는 질환들의 치료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수술은 최후의 수단으로 남기며 부작용과 감염에 대한 걱정 없는 비수술 치료를 우선으로 다양한 척추 관절 질환을 다루며 증상이 심해 수술을 받은 경우 재활 치료를 통해 보다 완벽한 회복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만약 허리에 통증이 있다면 힘정형외고에서 보다 정밀한 진료를 받아보시고 초기에는 보존적인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기에 빠르게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