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술통증도수치료/척추질환

안양정형외과 걸을 때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는 척추 질환, 척추관협착증

힘정형외과 2021. 3. 4. 11:35

 

#안양정형외과

걸을 때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는

척추 질환, 척추관협착증

 

 

 

 

우리 몸에는 중요한 신경들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있는데, 여러 원인으로 척추 주변의

근육 조직과 인대들이 비대해지면서 척추관

내부 신경들을 압박할 경우 허리 통증과 함께

팔, 다리 저림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급격히 기온이 떨어지면서

근육이 뻣뻣해지고 혈액순환 저하로 허리 통증이

더욱 심해지기도 하는데,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다행이지만 통증이 지속된다면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려서 오래 걸을 수

없다거나, 걸을 때 신경이 눌리면서 엉덩이와

다리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장딴지에 쥐가

자주 나타나거나 엉덩이부터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발생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여기서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써 아래위 척추에 의해서 추간공이

생기면서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고,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경추 부위에서 커지면서

흉추 부위에서 좁아졌다가 요추부에서 다시

커진 뒤에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서

척추 중앙의 척추관과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지게 되면서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발생시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은

나이가 들면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를

대표적인 원인으로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부터는 잘못된 자세와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서 추간판에 노화가 빠르게 일어나면서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게 태어난 사람의

경우에도 발병할 수 있으며, 갑작스럽게 허리에

충격이나 무리한 운동 등의 외부적인 요인들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증상은?

 

척추관협착증의 경우에는 허리 통증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허리디스크와는 다르게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거나 혹은 쥐어짜는 듯하거나 타는

것과 같은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되는데 이는 찬 기후에 있거나

활동을 하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정을

취하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이 자주 발생하고 심해지면

허리를 굽히거나 걸음을 멈추고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증상이 사라졌다가 다시 보행을 하게 되면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증상을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증이라 하며, 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거리가 짧아집니다.

 

이처럼 척추관협착증은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며

이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종아리, 발목, 무릎

허벅지, 엉덩이 및 서혜부를 따라 넓은 범위의

감각소실 및 저린 감 같은 감각이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괄약근 장애는 가장 늦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법은?

 

척추관협착증은 초기에 발견할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서 충분히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본원에서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다양한 보존적 치료법들인

인대 강화 주사, 물리치료, 도수치료와도 같은

치료들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효과가

가장 탁월한 무중력 감압 치료기를 통한 치료법이

척추관협착증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기에

이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무중력 감압 치료기는 원하는 척추 부위를

무중력 내지 음압의 상태로 만들어서 디스크 내로

영양물질 및 산소 공급을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디스크에 문제가 된 것들을 해소하고 정상 디스크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

 

또한 환자가 치료기에 자리를 잡으면

특허받은 골반 고정기가 환자의 골반을 편안하게

고정하여 컴퓨터의 통제 하에 압박을 가해주므로

특정 디스크 부분들을 부드럽게 늘려서

정확하면서도 고통 없이 디스크 내부의 압박을

감소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이 치료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15 ~ 25회의

치료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척추관협착증과도 같은 퇴행성 질환은

평상시의 생활 습관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무거운 물건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거나 하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면 그만큼 척추에 부하가 가게 되어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척추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는 것도 척추에

무리를 덜 주게 되어 퇴행성 변화를 늦출 수 있으며

체중조절 역시 척추의 퇴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과도한 비만 및 운동 부족은 척추에

무리를 가게 하거나 척추 주변 근육을 약화시켜

퇴행성 변화의 촉진을 가져올 수 있어서

체중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