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저림의 원인 척추관협착증 개선 방법은? 산본척추병원

많은 분들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저림 증상이 나타나면 허리디스크를 먼저 떠올리곤 해요. 하지만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은 디스크 외에도 다양한 척추질환이 원인이 되어 나타날 수 있기에 산본척추병원 힘정형외과에서는 의심되는 증상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일 내에 검사와 치료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 이번 시간엔 그중 허리디스크와 비슷하지만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의 척추는 신체의 신경이 뇌로 가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요. 그러기 위해 척추 중앙의 척추관이나 가지 신경의 통로인 추간공 존재하고 있으며 추간공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좁아져 지며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의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퇴행성 척추 질환이에요.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허리디스크와 비슷하지만 다른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허리디스크의 경우 쪼그려 앉을 경우 허리 통증도 있지만 신경 눌림으로 인해 다리 저림 증사이 흔히 발생해요. 또한 몸을 앞으로 숙일 때 튀어나온 디스크가 신경을 더욱 압박하기에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기에 허리를 앞으로 숙이고 있을 때가 많아 꼬부랑 병이라 불리기도 하며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통증이 타나서 잠시 쉬면서 걸어야 하기도 해요. 이처럼 두 질환은 서로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이 같더라도 나타나는 지점과 원인이 다르기에 반드시 구분하여 적절한 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척추관협착증의 발생 원인은 대표적으로 퇴행성 변화를 꼽을 수 있어요. 사람의 신체는 나이가 들어가며 20대 이후로부터 노화가 시작되게 되는데 이 노화로 인해 척추를 지지하고 받쳐주는 근육량이 감소함에 따라 인대에 더욱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며 인대가 두꺼워져 신경을 압박하고 있어요. 하지만 퇴행성 변화 이 외에도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선천적인 원인이 있으며, 평소 허리디스크가 있었을 때, 반복적으로 허리를 사용하여 외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쪼그려 앉아 오랜 시간 유지하고 있을 경우 역시 척추관협착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그 후 환자의 상태와 질환의 진행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증상이 심하지 않고 초기일 경우 보존적인 치료를 통하여 충분한 호전을 기대하여 볼 수 있어요. 그 방법으로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 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에 따라 추가적으로 도수치료와 무중력감압치료 등을 진행하여 볼 수 있으며, 이번 시간에는 그중 무중력감압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중력감압치료는 원하는 척추 부위를 무중력 내지 음압의 상태로 만들어 디스크 내부로 영양물질과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환자가 치료 대에 자리를 잡으면 골반 고정기를 통해 환자의 골반을 고정한 후 컴퓨터의 통제 속에 압박을 가하여 특정 부분을 부드럽게 늘려 통증 없이 내부의 압력을 낮춰 줄 수 있어요. 이는 마취나 절개의 과정을 하지 않기에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운 편이기에 별도의 회복 기간이 필요 없으며, 고령의 환자나 기저질환자에게도 시행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다리 저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서 언급한 모든 검사와 치료는 개인에 따라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기에 반드시 치료 전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