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본관절병원 무릎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연골연화증 의심

무릎에 발생한 통증은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완벽하게 진단을 하는 것은 어려운데요. 다만 계단이나 오르막길에서 통증이 심해지고 관절에서 뚝하는 소리가 자주 나면 연골연화증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본래 우리 관절을 덮어 보호하는 연골은 적당히 단단한 조직인데요. 하지만 무릎 앞쪽에 지속적인 충격을 받거나 과도한 피로가 가해지면 주변 뼈와 부딪쳐 마찰을 발생하며 연골이 부드러워지고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연골은 질긴 고무 같은 조직인데요. 관절을 움직일 때 뼈가 마찰 없이 서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부드러운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직이에요. 하지만 슬개골 아래쪽 연골이 부서지거나 단단했던 구조가 부드러워지며 통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을 연골연화증이라고 이야기해요. 비교적 젊은 분들일수록 해당 질환에 더욱 취약하며 연골의 본래 기능을 잃은 상태이므로 뼈를 자극하여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무릎 질환이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남성이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 건강이 손상되기 시작하는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연골연화증은 젊은 여성 환자가 많은 편이에요. 이는 여성은 남성에 비해 근육량이 부족한데 무릎 주변의 근육량이 부족해지며 외부 충격 완충 및 체중의 부하를 견디는 능력이 떨어지기에 발생하게 되는데, 그렇기에 여성이 무릎 근골격계 질환에 더욱 취약한 편이에요. 게다가 20~30대 여성은 평소 굽이 높은 하이힐 등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원인이 되기도 해요.

연골연화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아요
1. 무릎을 사용할 때 “딱딱”거리는 소리
2. 통증의 초기 단계에서는 뻐근함 또는 시큰거림
3. 경사를 오르거나 내릴 때, 반복적인 무릎 사용 시 통증 증가
4. 무릎 사용 시 통증이 있어도 휴식 시 통증 완화
5. 쪼그려 앉기가 힘들거나 통증이 나타남
6. 뛰기나 점프하기가 어려움
7. 걸을 때 힘이 들어가지 않음


위 증상으로 인하여 산본관절병원 힘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주시게 될 경우 우선 엑스레이 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토대로 증상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고 있어요. 증상이 초기이거나 심하지 않을 경우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물리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등의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어요. 이중 도수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위 설명한 치료는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서 절개나 마취하지 않아 비교적 부작용이 적으며 치료 시간이 길지 않고 별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즉시 일상으로 복귀가 가능하여 바쁜 현대인들의 시간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에요.




오늘은 연골연화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서 언급한 모든 검사와 치료는 개인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산본관절병원 힘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치료를 받으시길 바라며 본원에서는 언급한 치료 방법 외에도 다양한 치료를 통해 환자의 증상 개선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